www.penand.co.kr ▷ 문법용어정리 ▷ 관계대명사 계속적용법


penand 비법노트


▷ 관계대명사 계속적용법


"관계대명사의 제한적/계속적 용법?"



He had two sons who became doctors.
제한적(한정적) 용법 : 의사가 아닌 아들이 또 있을 수도 있다 ???



He had two sons, who became doctors.
계속적 용법 : 아들 둘이 있는데, 모두 의사가 되었다 ???



문법책에서 소개하는 관계대명사의 이 용법에 대한 설명은 다소 황당하기까지 하죠?
제한적(한정적) 용법은 뒤에서부터 해석하고, 계속적용법은 앞에서부터 해석하라고 하기도 합니다.
콤마(,)하나가 이렇게 미묘한 느낌을 갖는다니, 이렇게 이해해도 막상 읽을 때, 또 글을 쓸 때도
언제 계속적 용법을 사용 하는 것인지 도무지 기준이 잡히질 않죠? 그럼, 지문을 보지않고 그냥 듣기만
해서는 이것이 계속적 용법인지, 제한적 용법인지 구분할 수 없는 게 아닐까? 말하면서, ‘콤마’ 이렇게
하진 않을 테니까요? ^^*


다음 예문에서 계속적 용법에 대한 힌트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Mother Teresa, a Nobel Peace Prize winner, has persuaded Fidel Castro, the Cuban leader, to allow…
comma(,)로 감싸서 우리가 잘 아는 특정인물에 대해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문법에서 ‘동격의 콤마’라고 설명하는, 아주 자주 보게 되는 표현 방식입니다.
바로 여기서 계속적 용법에 대한 힌트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Mother Teresa, a Nobel Peace Prize winner,…’ : Mother Teresa = 노벨 평화상 수장자
‘Fidel Castro, the Cuban leader,…’ : Fidel Castro = 쿠바의 지도자



이제 관계대명사 앞에 comma(,)를 찍고 표현하는 계속적용법으로 표현된 예문을 보면,
Mother Teresa, who was awarded the Nobel Peace Prize in 1979, has persuaded …
Fidel Castro, who is the Cuban leader …



: ‘,who’ 뒤에 동사(was awarded, is)가 숨어 나오는 형태로 ‘Mother Teresa’와 ‘Fidel Castro’를
설명하고 있는 관계대명사 구조입니다. 계속적 용법이죠? 그럼 comma의 느낌은 어떤 것일까요?



관계대명사는 먼저 말한 대상(명사)에 대해 상대방이 모른다 싶어, ‘그게 뭐냐면요…’하면서 설명하고
넘어가는 느낌이 있다고 했지요? 이 느낌과 비교해 보면, … 계속적용법은 잘 알려진 사실이기 때문에,
이미 상대방이 알고 있을 거란 느낌을 갖고 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느낌으로 말하는 것이지요.


Mother Teresa 테레사 수녀님… (아시죠?)
, who was awarded the Nobel Peace Prize (맞아요! 노벨평화상을 받은 그 분이요.)



Fidel Castro 피델 카스트로… (아시죠?)
, who is the Cuban leader (맞아요! 쿠바의 지도자인 카스트로요.)



Abraham Lincoln 링컨 대통령 링컨…(아시죠?)
, who was the 16th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맞아요! 미국 16대 대통령이었던 그 분이요.)


관계대명사의 계속적 용법은 상대방도 이미 알고 있음 직한 어떤 유일한 대상을 나타냄을 알 수 있습니다.
Teresa, Fidel Castro, Lincoln이란 이름을 가진 사람은 또 있겠지만, 내가 말하려는 Teresa,
Fidel Castro, Lincoln은 … 바로 당신이 알고 있는 딱 그 분(동격)을 의미한다는 것이죠.



그럼 이제 왜 문법책에서 He had two sons, who became doctors. 이 문장에는 그에게 아들이 둘 밖에
없다는 느낌이 있다는 것인지도 이해할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
He had two sons (그에게 아들이 둘 있는 거 아시죠?)
, who became doctors. (맞아요! 둘 다 의사잖아요)



이미 상대방도 He에 대해 알고 있고, 그에게 아들이 둘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
말하고 있는 것이죠. 왜 계속적 용법은 앞에서부터 해석하라고 하는 것인지도 이해가 되죠.
two sons에 대한 이 예문은 거의 모든 문법책에 등장하는 예문이지만, 사실 계속적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다지 좋은 예문은 아닌 것 같습니다. 그럼 실제로 계속적 용법은 어떤 경우에
많이 보게 될까요? 특정인물이나 잘 알려진 유명한 사물(도시, 건물, 작품, 집단…)을 관계대명사로
설명할 때 계속적 용법으로 표현하는 것을 자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당연하겠죠?


NASA, which is located in Houston....
The Eiffel Tower, which is located in Paris …
FIFA, which is the largest sporting event in the world, decided …
South Korea, which is the most wired nation today 한국, 가장 통신망이 잘 구축된 국가



이렇게 이해하면, 비록 글을 보지 않고 귀로만 듣게 되는 경우라도, 거기에 comma가 있을 거란 것도
예측할 수 있을 것 같죠? ^^* 그리고, 언제 계속적용법을 써야 하는 지도 감을 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발췌 : '하나의 원칙으로 설명하는 영문구조 Refresher p144'



'펜과 그리고' P/E/N/A/N/D www.penand.co.kr
2005 Copyright all reserved by P/E/N/A/N/D


penand 노트